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57 lines (29 loc) · 2.99 KB

전력줄이기.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57 lines (29 loc) · 2.99 KB

 전력 줄이기

result

ETH : 0x6202c84eD45dC6460B79Ff00755DaE4D854570EC

BTC : 1G55a8fz7WjpzH4oxYTxizKWCCmsousgYF

https://www.amazon.com/P3-P4400-Electricity-Usage-Monitor/dp/B00009MDBU/ref=sr_1_1?ie=UTF8&qid=1492406077&sr=8-1&keywords=kill+a+wattv

==============================================================

먼저 듀얼마이너 사용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그래픽 카드에는 GPU core 와 GPU vRAM 이 있는데

이더리움(이클,익펜) 채굴시 이더리움은 vRAM의 클럭과 램 타이밍에 따라 헤쉬성능이 다릅니다.

듀얼마이너는 GPU core를 이용해서 다른 코인 (파스칼, DCR)등을 비교적 vRAM 에 영향을 덜받는 코인을 채굴하는대신 전기를 더 먹습니다.

https://github.com/tk0221/ethereum_tool/blob/master/README.md

7번에서 설명했듯이 램타이밍 수정후에는 해쉬성능이 향상되는걸 볼수 있습니다.

일단 여기까지 마치셨다면 이제 그 성능을 조금 줄이더라도 전기를 적게 먹도록, 즉 가성비 높히는 방법입니다.

아래를 몇번 반복하시면 최적값을 찾으실수 있습니다.

전기 모니터 방법은 와트툴이나 msi 에프터버너를 보시면서 하셔도 되지만 전 개인적으로 전류측정계를 봅니다. 물론 실제 전기값이랑 조금달라도 전기가 줄으면 줄은걸 확인할수 있어서 좋습니다.

================================================================

  1. 기본 부팅후 proxy 돌리고 듀얼마이너를 실행합니다.

  2. 와트툴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3. 주의하실점은 오버와트는 위험하지만 언더볼트는 비교적 안전합니다. 고로 너무 큰값을 실수로 넣고 set까지 누르시는 것을 조심하세요...

  4. GPU 코어를 (1200 MHz - 1050 mV) 에서 (1100 MHz - 950 mV) 까지 MHz MV를 조금씩 낮추면서 해쉬성능이 변하는 지점까지 적어도 1분 간격으로 낮춰줍니다.

  5. 6개 그래픽 카드를 다 반복하시고 문제 없이 구동되었다면 다음은 볼트를 낮추는 작업입니다.

  6. Voltage offset 에서 -8부터 시작해서 6개를 다 낮추면서 구동되는지 확인후 점점 더 낮추는데 저는 -20까지 낮췄습니다.

  7. 프로파일 값을 저장하고 하루정도 정상으로 도는지 확인합니다. 물론 전력이 줄었는지도 체크 합니다.

=====================================================================

100시간정도 구동했는데 1200와트에서 950와트로 낮췄습니다. 낮추기전에는 180~182로 돌았는데 175정도로 낮아졌지만 전기

매가 해쉬당 6.66 먹던게 5.42정도로 낮아졌으니 효율이 좋아졌다고 해도될거 같네요.

또 1300w 에서 1200쓰던게 1000이하로 나오니 여름에는 어떨지 궁금하지만 더 안전하게 돌리는거 같아 조금해쉬를 포기했지만 이렇게 구동하고 있습니다.